|
시는 대화형 AI ‘순천 케어콜’을 통해 돌봄 사각지대 가구에 매주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고 정서적 위안을 제공하고 있다.
이 AI는 이전 대화를 기억해 맞춤형 대화를 이어가며, 단순한 안부를 넘어 마음까지 살피는 ‘친절한 AI 복지사’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순천살핌 안녕 앱’과 가전제품 사용 여부를 감지해 응급 상황을 파악하는‘스마트 돌봄 플러그’도 운영 중이다.
현재 약 2,800여 명의 시민들이 AI 안부 살핌 케어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실제 사례로, 지난해 8월 왕조1동에 거주하는 윤 모 씨가 ‘순천 케어콜’에 응답하지 않자 복지담당자가 가정을 방문, 기력을 잃고 누워있는 윤모 씨를 발견하고 즉시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 생명을 구한 바 있다.
응급의료 분야에서는 ‘AI앰뷸런스’ 시스템을 도입해 중증 응급환자 발생 시 AI가 자동으로 최적의 병원을 연결하고 최단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이송·전달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치료가 가능하다.
시는 앞으로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새롭게 지정된 순천중앙병원 등으로 AI앰뷸런스 시범 운영기관을 확대하고, 권역응급의료센터인 성가롤로병원 주도로 다양한 응급 사례를 반영하는 등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응급의료기관과 소방서간 협력을 통한 실효성 있는 운영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대민 행정 서비스 분야에서도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 누리집에는 24시간 상담 가능한 AI 챗봇 ‘이루미’를 운영 중이며, 외국어 실시간 번역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국 최초로 네이버 공공정보 특화검색 서비스를 도입해, 시민과 관광객이 ‘순천’을 검색하면 AI가 관광명소, 시정 소식 등 유용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이 외에도 행정업무 중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행정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사람 중심의 공동체 돌봄을 강화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스마트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정우 기자 honami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