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 가성비 높이는 ‘천원의 가치’, 광산구 민생프로젝트 가동
검색 입력폼
광산구
삶 가성비 높이는 ‘천원의 가치’, 광산구 민생프로젝트 가동
‘시민 참여‧연대로 경제위기 극복’ 140억 원 규모 ‘다같이 민생프로젝트’ 주목
  • 입력 : 2025. 04.24(목) 10:47
  • 신상백 기자
2025 다같이 민생프로젝트 홍보 이미지.
[호남인뉴스]광주 광산구가 경제위기 상황 속 시민의 어려움에 공감하고 시민의 참여와 연대를 통해 지역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모색하는 ‘2025 다같이 민생프로젝트’를 추진한다.

24일 광산구에 따르면,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민생 현장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경제 회복 방안 마련과 전방위 대응에 나설 것”을 2025년 1호 지시 사항으로 당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대책 발굴에 나선 광산구는 6대 분야, 64개 세부 사업에 140억 원을 투입하는 다같이 민생프로젝트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천원 더(The)가치프로젝트’와 ‘민생경제를 살리는 21가지 방법’ 두 가지 핵심 축으로 진행된다.

‘천원 더가치프로젝트’는 고물가 시대에 가계경제 부담을 덜고, 시민 생활에 가치를 더하는 ‘가성비 경제 정책’이다.

△천원 페이백(환급) △천원거리 △천원한끼 △천원반찬 △천원택시 △천원병원동행 등 1,000원으로 누리고,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총 12개의 과제로 추진된다.

‘천원페이백’은 광산구 지역 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온누리상품권을 1만 원을 사용하면 1,000원을 선착순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총 누적 사용 금액 5만 원 이상 사용자를 대상으로 연말 추첨 행사도 진행한다.

‘천원택시’는 대중교통 소외지역인 농촌 5개 동(평‧임곡‧동곡‧삼도‧본량동)의 65세 이상 어르신, 장애인이 수용응답형 택시를 1,000원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업이다.

취약계층에게 1,000원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천원한끼’ 식당, 이와 연계해 1,000원에 반찬을 판매하는 ‘천원반찬’도 지속한다.

‘민생경제를 살리는 21가지 방법’은 광산구 21개 동이 지역 특성, 자원을 활용해 진행하는 특화사업이다.

주민자치회, 지사협 등 동 단위 단체와 상인회 등이 연대한 민생경제협의체를 중심으로 누리소통망(SNS)을 활용한 상권 홍보, 골목상권 이용에 따른 상품권 지급 시민 참여 이벤트 등을 활발히 벌이고 있다.

송정1동의 경우 자체 제작한 ‘마을ON(溫,온)’ 마을화폐를 활용해 동네 상권 재소비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산동 주민자치회는 동네 가게에서 매달 3만 원 이상을 쓴 100명을 추첨해 2만 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을 주는 ‘자주가게(우산동 주민자치회가 주도하는 우산동 가게 살리기)’ 사업을 진행 중이다.

첨단2동에선 천원한끼 첨단점(4호점)의 기능을 주변 상점, 가게로 이어 확산하는 ‘천원 상생 거리’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이 밖에도 광산구는 △소비촉진 △소상공인‧중소기업 △일자리 △취약계층 지원 △문화 여가 △공감 행정 등 다같이 민생프로젝트의 분야별 사업 실행에 속도를 낸다.

특히, △지역 상권 홍보 지원 △영세 임차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지원 △일터환경 개선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취약계층 맞춤형 에너지 지원 △거리 공연 이어가기(릴레이 버스킹) 등 문화예술인 지원에 주력할 계획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시민, 다양한 경제주체와 연대‧협력으로 지금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겠다”며 “다같이 민생프로젝트 추진과 더불어 지역 상권 매출 변화, 지역경제 파급효과 등을 면밀하게 살피며 민생정책의 시민 체감도,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광산구가 다같이 민생프로젝트로 중점 추진하는 천원 더가치프로젝트의 상세 내용은 광산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상백 기자 honami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