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최대 김 양식장인 16,043ha, 203,147책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진도군에서는, 지난해 생산량인 10만 4,378톤보다 33% 증가한 13만 8,868톤을 생산했고, 위판액 또한 지난해 2,284억 원과 비교해 9% 증가한 2,490억 원으로 역대 최대 위판가를 경신했다.
군은 올해 김 생산량이 많이 증가한 이유가 종자 붙이기(채묘)를 하는 초기에 질병이 적게 발생하고, 안정적인 바다 상황(해황)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김 수출액이 2년 연속 1조 원을 달성하는 등 해외에서 한국 김이 큰 인기를 끌면서 물김의 수요가 증가한 것도 중요한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김 생산량 증가에 따른 홍수 출하로 인해 물김 위판가가 하락하고 물김 폐기 등의 위기가 발생했을 때는 민관이 적극 협력해 빠르게 대처했고, 수급 조절을 위한 어업인들의 김 시설량 감축 등도 이루어졌다.
김희수 진도군수는 “어업인들이 어려운 상황이 있었음에도 슬기롭게 잘 해결해 나간 것에 대해 감사하다”라며, “2026년에도 ‘전국 1위 김 생산지’의 위상을 지킬 수 있도록 김 품질의 향상과 생산량 증가를 위해 앞으로도 아낌없는 행정 지원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진도군은 김 산업 진흥구역 지정 사업비 50억 원, 김 활성처리제 지원사업 5억 원 등 김 양식 어가에 대한 지원을 위해 12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어가의 경영 안정에 힘쓰고 고품질의 김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진도 김은 냉수대가 흐르고 있어 적조가 없는 청정 바다에서 생산돼 미네랄과 칼슘이 풍부하고, 몸의 독소 배출과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검정 먹거리(블랙푸드)’로 소비자들에게 인기 만점이다.
박정우 기자 honami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