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연구원은 16일 발간한 이슈브리핑 ‘특송물류 중심지 경쟁의 분수령, 지금 전북자치도에 필요한 것은?’이란 연구를 통해 전북자치도의 특송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전북연구원은 지난해 정식 개장한 군산세관 특송물류센터가 월 80만 건 이상의 전자상거래 화물을 처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계 인프라 부족과 대기업 물류센터 부재로 인해 연관 산업의 지역 내 선순환 효과가 낮다고 분석했다.
특히 인천 아암물류단지 완공 및 수도권 중심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확대에 따라 전북이 특송화물 거점 기능을 지속하려면 지금부터 대응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연구원은 그 배경으로 전북자치도의 비수도권 유일 특송통관 독점성과 군산-시다오 단일 항로 기반의 물동량 집중 구조, 새만금 트라이포트 인프라 연계 가능성을 핵심 강점으로 제시했다. 이를 활용한 Sea&Air 복합물류 거점 육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특송화물 자율주행 실증, 스마트 통관 시스템 구축,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협력 체계 확대 등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하며, 지역 물류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전북연구원은 석도국제훼리 주 6항차 재개, X-ray 검색대 등 통관설비 확충, ‘웨이하이 비즈니스 전용창구’ 및 ‘Fast-Track 통관제도’ 도입 등을 통해 특송화물 물동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국경 간 전자상거래 허브로서의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책임을 맡은 나정호 책임연구위원은 “전북자치도는 특송물류의 분기점에 서 있다”며 “스마트·친환경 물류기술을 접목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전북형 전자상거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면 중부권 특송물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석종 기자 honami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