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눈의 시민군, 영암군서 5·18 증언한다 데이비드 돌린저, 16일 영암군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서 영암군민과 재회 이현명 기자 honaminnews@naver.com |
2025년 05월 13일(화) 11:02 |
|
영암군이 16일 영암군청 앞 광장에서 열리는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초청했다.
지역 62개 단체가 함께 한 영암5·18민중항쟁 45주년 기념행사위원회 주관으로 열리는 이날 행사는 지역사회가 함께 5·18을 준비·기억·실천하는 민주주의 축제로 마련됐다.
미국인 돌린저 씨는, 1978년 평화봉사단원으로 한국에 와 영암보건소에서 결핵환자를 돌보는 일을 2년간 하며 ‘임대운’이라는 이름도 얻었다.
영암에서의 생활을 각별하게 여긴 그는, 책 '나의 이름은 임대운'에서 “나는 내 아들이 내 유골의 일부를 월출산에도 묻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월출산은 내가 자신을 돌아보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 소중한 장소였다. 월출산은 나에게 정말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영적인 장소이자 내 삶의 궤적의 소중한 일부가 됐다”고 적고 있다.
1980년 5·18 당시 푸른 눈의 시민군이었던 그는 임대운으로 불리며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의 무전기를 감청하고,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의 외신 기자회견을 통역하고, 시민군의 시신을 수습하는 등 임무를 수행했다.
아울러 미국으로 돌아간 뒤에는 5·18의 진실을 알리고, 한국 인권의 실상을 폭로하는 일을 하며 광주정신의 국제화에 공헌했다.
같은 책 ‘광주항쟁에 대한 내 결론’ 장에서 돌린저 씨는 “광주항쟁 때 나는 이전의 나를 묻었다. 그리고 1980년 5월에 내가 목격한 사건 때문에 또 다른 나의 일부가 태어났다. 항쟁 기간 동안 광주 시민들을 더 돕지 못한 후회는 죽는 날까지 남을 것이다. 광주 시민들과 희생자들에게 깊은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돌린저 씨는 영암5·18 기념식에서 ‘푸른 눈의 증언자 데이비드 돌린저 특별 증언’에 나와 영암군민들에게 자신의 영암 생활과 5·18 체험을 들려줄 예정이다.
이달 2일부터 광주 전일빌딩245 5·18기념공간 9층에서 개막된 외국인의 시선으로 5·18의 진실을 조명하는 ‘증인 : 국경을 넘어’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돌린저 씨를 포함해 고 아놀드 피터슨, 제니퍼 헌틀리 3명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광주의 아픔과 민주화의 여정을 재조명한 전시다.
이 밖에도 영암5·18 기념식에서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을 주제로 △영암5·18 역사 동영상 상영 △주먹밥 나누기 재연 △추모 분양소 운영 등도 예정돼 있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5·18광주민중항쟁이 있어서 오늘 우리 국민은 불법 계엄을 뚫고 탄핵과 파면으로 민주주의 역사를 바로 세워가고 있다. 지역사회가 크게 협력해 마련한 영암5·18 기념식에 귀한 손님 임대운 씨가 찾아온다. 1980년 당시의 영암과 광주항쟁을 함께 이야기 할 수 있는 축제의 장에 영암군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란다”고 전했다.
이현명 기자 honaminnews@naver.com